Most Read Articles
Most read articles are listed by the number of read for the previous three months.
Integrating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ompetence into a General English Course: A Case Study
세계시민성 및 글로벌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영어 수업운영 사례연구
세계시민성 및 글로벌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영어 수업운영 사례연구
J. Educ. Int. Underst. 2022;17(1):93-156.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9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410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93
Research on the Process of ‘Designing Classes on Hate’ Conceptual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초등교사들의 혐오 수업 구상과정 탐구
초등교사들의 혐오 수업 구상과정 탐구
J. Educ. Int. Underst. 2022;17(1):157-195.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15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80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157
Exploring the Facilitator’ Roles and Successful Factors of International Youth Programs: A Grounded Theory Approach
국제 청소년 교류 프로그램의 퍼실리테이터 역할과 성공요인 탐색: 근거 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 청소년 교류 프로그램의 퍼실리테이터 역할과 성공요인 탐색: 근거 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J. Educ. Int. Underst. 2022;17(1):1-57.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39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I-Based Chatbot for Place-Based Learning of Global Region: Focusing on Understanding Cultural Diversity
지역기반 세계지역학습을 위한 AI기반 챗봇의 개발과 활용: 문화 다양성 이해를 중심으로
지역기반 세계지역학습을 위한 AI기반 챗봇의 개발과 활용: 문화 다양성 이해를 중심으로
J. Educ. Int. Underst. 2022;17(1):59-91.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5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21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59
Cosmopolitanism and Perpetual Peace by Immanuel Kant
세계시민주의와 칸트의 「영구평화론」
세계시민주의와 칸트의 「영구평화론」
J. Educ. Int. Underst. 2018;13(2):1-38.
https://doi.org/10.35179/jeiu.2018.13.2.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48
https://doi.org/10.35179/jeiu.2018.13.2.1
Relationships between Marriage Immigrant Women’s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ve Stress: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Marital Satisfaction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및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및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J. Educ. Int. Underst. 2021;16(2):33-70.
https://doi.org/10.35179/jeiu.2021.16.2.3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43
https://doi.org/10.35179/jeiu.2021.16.2.33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Empowerment and Quality of Life in Vietnamese Migrant Women in Jeonbuk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J. Educ. Int. Underst. 2018;13(2):157-181.
https://doi.org/10.35179/jeiu.2018.13.2.15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39
https://doi.org/10.35179/jeiu.2018.13.2.157
Discourse on Peace-oriented Citizenship in the Korean Peninsula: Form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divided Society into the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Peaceful Coexistence Era
한반도 평화시민성 교육담론: 분단시대 통일교육에서 평화시대 시민교육으로
한반도 평화시민성 교육담론: 분단시대 통일교육에서 평화시대 시민교육으로
J. Educ. Int. Underst. 2020;15(2):1-46.
https://doi.org/10.35179/jeiu.2020.15.2.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18
https://doi.org/10.35179/jeiu.2020.15.2.1
Yemenis’ Asylum Application in Jeju and Discourse of Refugees
제주 예멘 난민신청과 갈등적 난민담론
제주 예멘 난민신청과 갈등적 난민담론
J. Educ. Int. Underst. 2019;14(2):9-38.
https://doi.org/10.35179/jeiu.2019.14.2.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16
https://doi.org/10.35179/jeiu.2019.14.2.9
Study of Teacher’s perception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SEAN region
아세안 국가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아세안 국가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J. Educ. Int. Underst. 2020;15(3):141-203.
https://doi.org/10.35179/jeiu.2020.15.3.14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16
https://doi.org/10.35179/jeiu.2020.15.3.141
Peace as ‘No-war’(非戰), ‘Anti-militarism’(反軍國主義), and ‘Non-nuclear’(非核): The Core of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Peace in Japan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 개념사의 핵심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 개념사의 핵심
J. Educ. Int. Underst. 2018;13(2):77-118.
https://doi.org/10.35179/jeiu.2018.13.2.7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12
https://doi.org/10.35179/jeiu.2018.13.2.77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Programs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 Case Study of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국제교류협력 프로그램: 경기도교육청 사례연구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국제교류협력 프로그램: 경기도교육청 사례연구
J. Educ. Int. Underst. 2019;14(2):139-172.
https://doi.org/10.35179/jeiu.2019.14.2.13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8
https://doi.org/10.35179/jeiu.2019.14.2.139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niversity Course Development Project
세계시민교육 대학 강좌개설 지원사업의 추진 성과와 과제
세계시민교육 대학 강좌개설 지원사업의 추진 성과와 과제
J. Educ. Int. Underst. 2020;15(1):33-59.
https://doi.org/10.35179/jeiu.2020.15.1.3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7
https://doi.org/10.35179/jeiu.2020.15.1.33
Stoicism and Cosmopolitanism
스토아주의와 세계주의
스토아주의와 세계주의
J. Educ. Int. Underst. 2019;14(2):39-60.
https://doi.org/10.35179/jeiu.2019.14.2.3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5
https://doi.org/10.35179/jeiu.2019.14.2.39
An analysis of the global citizenship of youth participated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세계시민교육 참여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세계시민교육 참여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J. Educ. Int. Underst. 2018;13(1):41-70.
https://doi.org/10.35179/jeiu.2018.13.1.4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3
https://doi.org/10.35179/jeiu.2018.13.1.41
A Critical Review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 Reconstruction into Peace Education
평화교육으로의 재구성을 위한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평화교육으로의 재구성을 위한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J. Educ. Int. Underst. 2021;16(1):33-65.
https://doi.org/10.35179/jeiu.2021.16.1.3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2
https://doi.org/10.35179/jeiu.2021.16.1.33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 Global Policy Agenda
세계시민교육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세계시민교육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J. Educ. Int. Underst. 2020;15(2):47-95.
https://doi.org/10.35179/jeiu.2020.15.2.4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1
https://doi.org/10.35179/jeiu.2020.15.2.47
Critical understanding on Shrinkage and Limitation of UK’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era of Brexit
브렉시트 시대 영국의 세계시민교육 위축과 제약 분석: 세계시민교육이 나아갈 방향
브렉시트 시대 영국의 세계시민교육 위축과 제약 분석: 세계시민교육이 나아갈 방향
J. Educ. Int. Underst. 2018;13(2):119-155.
https://doi.org/10.35179/jeiu.2018.13.2.11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0
https://doi.org/10.35179/jeiu.2018.13.2.119
A Study on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ESD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Primary School
초등 2015개정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관련 목표와 내용 탐색
초등 2015개정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관련 목표와 내용 탐색
J. Educ. Int. Underst. 2020;15(1):1-31.
https://doi.org/10.35179/jeiu.2020.15.1.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89
https://doi.org/10.35179/jeiu.2020.15.1.1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East-Asian Adults’ Global Citizenship: Social capital, Threat Recognition, Information Media Utilization
동아시아 성인의 세계시민의식 관련 요인 분석: 사회자본, 위협인식, 정보매체활용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성인의 세계시민의식 관련 요인 분석: 사회자본, 위협인식, 정보매체활용을 중심으로
J. Educ. Int. Underst. 2021;16(3):77-119.
https://doi.org/10.35179/jeiu.2021.16.3.7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83
https://doi.org/10.35179/jeiu.2021.16.3.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