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rticle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서재복*, 임명희**
Jaebok Seo*, Myounghee Im**
*전주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주저자), kuk4@jj.ac.kr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조교수(교신저자), impact@jj.ac.kr
*Professor, Jeonju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Jeonju University

© Copyright 2018 Korean Society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30, 2018; Revised: Dec 05, 2018; Accepted: Dec 15, 2018

Published Online: Dec 30, 2018

요약

한국 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증가와 더불어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2017년 말 국내 체류 외국인 수가 218만 명을 넘어섰고, 결혼이주여성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결혼이주 여성 중에서 베트남 출신은 중국 다음으로 많은데 비해서 이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결혼이주여성은 우리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은 우리 모두의 당면 문제다. 이 연구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 1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이들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에서 임파워먼트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유의하였다. 사회적 참여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로 가는 경로에서 유의한 직접효과, 간접효과가 있었다. 전북지역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는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영향이 있으며,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임파워먼트 향상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다양한 지지를 받아 스스로 자신의 역량을 통해 주체적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역량강화는 중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ocial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empowerment and quality of life among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n Jeonbuk province. The research aims to fi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ocial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empowerment and quality of life among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ocial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empowerment and quality of life among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n Jeonbuk province,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β=.414 p=.017). Social support is also significant with empowerment(β=.844 p=.006), which is significant with quality of life(β=.462 p=.006). In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ce on the path of empowerment to quality of life(direct effect size: .411, p=.017, indirect effect size: .390, p=.001, total effect size: .804, p=.001). However, social participation had effects on quality of life by intervention of cultural adaptation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study, program has to be provided for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participating in social integration and diverse social participation to receive social support.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 to form the identity and reinforce the capability by participating various cultural programs. Through this process, the local community can be transformed into a multicultural community through human interaction with local social members. In addition, providing an environment for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such as continuous independent meeting, the quality of life for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could be improved by activating social participation.

Keywords: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삶의 질; 구조적 관계
Keywords: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Social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empowerment; Quality of life

Ⅰ. 서 론

한국사회에 있어서 거주 외국인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인구이동은 여려가지 이유가 있지만 노동시장의 변화와 신자유주의도 변화의 한 요인이다. 국내 거주 외국인은 주로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귀화자 등이며 오늘날 대한민국은 다문화 및 다인종 사회로 진입하였다. 이러한 추세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내적인 요구뿐만 아니라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민자, 유학생 증가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통계월보, 2017). 2016년을 기준으로 전체 결혼이민자 중 베트남 국적의 결혼이주여성은 약 31.5%로 그 수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중국(약 24.0%), 한국계중국인(11.2%)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17). 2017년 전북지역 결혼이민자 7,817명 중에서 여성은 7,412명이며, 외국인 아내의 국적에 있어서 베트남 출신이 53.5%로 가장 많았다(통계청, 2017).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 사회 발전을 위해서 결혼이주여성은 참여의 주체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여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준비하는 것은 개인과 사회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써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김이선, 2015: 1-11). 특히 결혼이주여성이 가정을 형성하고 사회통합에 이르는 과정에서 필요한 사회적 참여와 사회적 지지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서재복, 임명희, 2018: 173-193).

결혼이주여성이 새로운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언어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어울림을 통한 문화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사회적 참여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지지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주민과 함께 살기 좋은 지역사회를 만드는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전북지역 결혼이주여성 중에서 가장 많은 베트남 출신 여성의 삶의 질과 관련해서 다양한 사회적 참여, 다양한 사회적 지지원들을 통한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적 수준에서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질적 향상과 다양하고 효율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이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에 대한 인식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 간에는 어떤 상관이 있는가?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를 통한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결혼이주여성

한국의 다문화사회는 외국인 근로자, 외국인 유학생, 탈북주민 등 다양한 유형이 있지만 그 중 가장 큰 특징은 결혼이주로 인한 다문화가족의 등장이다. 저출산, 노인인구 증가, 3D에 대한 젊은 층의 기피현상은 전통적인 서구 다문화 사회와 다르게 시작되었고, 결혼이주현상은 다른 나라와 차이를 보인다(오세욱, 2015). 1980년대 후반부터 국내 노동시장에 외국인 근로자가 유입되는 이주노동이 시작되었고 1990년 초부터는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결혼이주여성에 대해 대중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김혜순, 2008: 36-71).

한국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는 가족단위의 이민자들이나 개인 노동자들로 인해 다문화사회가 된 서구사회와 구별된다. 통계청의 인구동향조사에 따르면 2016년에 발생한 외국인과의 혼인은 전체혼인의 약 7%를 차지하며, 이 중에서 한국남성과 외국여성의 혼인은 약72%를 차지한다(통계청, 2017). 국제결혼을 한 외국 여성의 상당수는 결혼을 조건으로 거주권을 보장받는 F-6비자의 결혼이주여성(marriage migrant women)들이라고 할 수 있다. 결혼이주여성은 체류조건상 필연적으로 기존의 한국사회 선주민들과 함께 사적 가족을 이루게 되기 때문에 한국사회에서 거의 유일한 정착형 이주자로서 예외적으로 수용된다(이지연, 2018).

결혼이주여성은 결혼을 통해 대한민국에 귀화하여 대한민국 국민이 되기 위해 온 외국인들이다(정기선, 2008: 68-103). 특히, 결혼이주여성은 한국남성과 결혼하여 대한민국 영토에 거주하는 외국인 여성을 말한다. 이들은 결혼 후 체류기간이 2년 이상이 경과하면 일정 심사를 거처 한국 국적을 취득하게 된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이란 한국 남성과 외국인 여성이 결혼하여 합법적으로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여성을 의미한다. 향후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역할은 더욱 확대될 것이며, 이들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2. 사회적 참여

사회적 참여는 다른 사람과의 사교기회를 제공하고, 어려운 일이나 급한 상황에서 도움을 주거나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원망 역할을 한다. Palmore(1981)는 사회적 참여를 한 인간이 개인의 삶의 전 과정을 통해 자신의 행동반경을 가족이외의 다른 구성원들로 확산시키면서 자신의 관계망을 넓혀가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역할들을 수행하면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몫을 담당하게 하는 것으로 보았다. 인간은 사회적 참여를 통해 서로 사교의 기회를 갖고, 필요한 경우에 도움을 주거나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원망 역할을 한다(이형하 등, 2010).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사회적 참여를 통해 정보 흐름이 촉진되고, 사회적 신임이 보증되고, 개인의 정체성 강화, 의사결정 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다(김정훈, 임안나, 2010: 78-98).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사회적 참여는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정명희(2009)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에 관한 연구에서 정치활동, 지역사회활동, 여가활동, 동아리활동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활동들은 결혼이주여성 스스로 지역사회와의 유대를 증가시키는 역할 수행을 지역사회활동에 포함시켰다. 여가활동은 자유로운 시간의 활동으로써 교양강좌, 취미와 관련한 활동뿐만 아니라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야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김나영, 2007).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 참여는 그들에게 주류사회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관계형성에 들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가족 및 지역모임 프로그램과 사회적․인적 관계망의 다양한 형태와 대면하는 기회 및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들의 사회적 참여를 위한 한국사회 구성원으로 집단의 활동을 시작하고 다양한 사회적 참여를 통해 기존 구성원들과 상호작용할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정책제공 등은 한국사회의 책임이다(서재복 등, 2016: 225-246).

결혼이주여성들은 사회적 참여를 통해서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뿐만 아니라 결혼이주여성 자신의 존재감을 인정받고 정치․경제활동과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고, 사회에서 직면하는 사회적 문제를 풀어가며 사회적 관계망을 넓혀 자신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서재복, 임명희, 2018: 173-193).

3.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개인이 타인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을 의미한다(Cohen, Hoberman, 1983; 송경신, 2010). 사회적 지지는 개인 간 또는 개인과 집단 간에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집합체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이는 정서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지침을 제공하며, 정체감과 수행에 관한 환류를 제공한다(서재복, 임명희, 2018: 173-193).

사회적 지지의 요인에 대해 House(1981)는 사회적 지지를 정서적 관심, 유효한 원조, 환경에 대한 정보 및 평가를 하는 대인적관계라고 정의하였다. 4가지 유형 중 정서적 지지는 존중감, 신뢰, 애정, 경청, 관심, 친밀감을 포함하며, 정보적 지지는 문제해결을, 평가적 지지는 역할수행, 피드백, 수용, 긍정적 환류, 긍정적 자기평가이며, 마지막으로 도구적 지지는 현물, 현금, 노동력, 환경 개선으로 구분하였다.

서재복·임명희(2018)는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로 구분하였다. 정서적지지는 존경, 애정, 신뢰, 관심, 경험의 행위를 포함한다. 정보적지지는 직업의 기회를 알려주거나 직업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 등과 같은 개인이 문제에 대처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물질적지지는 일을 대신해 주거나 돈, 물건을 제공하는 등 필요시 직접적으로 돕는 행위를 포함하며, 평가적지지는 자신의 행위를 인정해 주거나 부정하는 등 자기평가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보았다(서재복, 임명희, 2018: 173-193).

결혼이주여성들은 타국의 남성과 결혼하여 가족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은 다양한 경험을 겪게 될 때 사회적 지지는 이들이 개인의 사회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요소며, 결혼이주여성의 내적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한명숙, 2001).

결혼이주여성들은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면서 문화적 차이로 갈등을 일으키지만 적응하는 과정에서 지지원들의 사회적 지지를 받아 주류국에서 잘 적응할 수 있다(임혁, 2010: 198-221). 결혼이주여성들은 사회적 환경 내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다양한 욕구충족 과정에서 지지원을 통한 사회적 지지를 얻게 되어 사회 속에서 자신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 이들이 한국사회에서 보다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적 지지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4. 임파워먼트

임파워먼트는 권한부여, 역량강화, 세력화, 능력 고취, 힘 갖추기 등의 다양한 의미로 여러 학문분야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임파워먼트를 통해 개인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적 관계를 통해 자신의 잠재력을 강화함으로써 삶의 통제력을 얻어 무기력, 억압, 절망의 상태로부터 변화와 성장의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임파워먼트는 개인이 자신에 대한 믿음과 신뢰를 바탕으로 삶의 문제들을 제거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자기 능력에 대한 믿음, 즉 자아기능의 강화, 자신의 주도권 획득, 자신의 활동능력 강화 등을 의미한다(임명희, 2017).

임파워먼트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는 능력과 자신감이다. 자신감은 자신의 주변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것이다(이용표, 2002). 임파워먼트는 개인이 심리․정서․사회적으로 갈등 양상에 놓였을 경우 매우 유의하다. 이때 내적 자원을 활성화시키고 긍정적 태도의 향상을 가져오며, 그로 인해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무기력 해소와 사회적응에 도움이 된다(임명희, 2017).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있어서 임파워먼트는 매우 중요하다. 어려움과 무기력에 당면했을 때 용기와 자신감을 갖게 하고 자신과 주변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갖기 때문이다. 이처럼 임파워먼트는 힘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환경에 대한 통제력을 갖게 하는 것이다.

한국의 문화적 특성상 한 부모 여성이나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는 여성이 능동적인 주체로서, 한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다문화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는 사회통합과 인적개발차원에서도 중요하다. 결혼이주여성 뿐만 아니라 자녀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장하기 위해 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5. 삶의 질

삶의 질은 사람들의 복지나 행복의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생활수준과는 달리, 삶의 질을 직접적으로 측정하기는 어렵다. 삶의 질에는 물질적인 측면(건강, 식사, 고통의 부재 등)과 정신적인 측면(스트레스나 걱정이 없고 즐거움 등)이 있다.

삶의 질은 다양한 관점으로 구분된다. 자신의 삶에 대하여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자신의 삶에서 인생목표나 욕구달성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평가를 의미한다(권미애, 2008). 삶의 질을 특정한 사회의 객관적인 삶의 조건과 환경을 의미하는 객관적 측면과 만족도나 행복감을 나타내는 주관적 측면, 양쪽 측면을 함께 강조하는 입장이다(성춘광, 2011). 주관적 삶의 질을 행복 또는 주관적 안녕감이라는 용어와 같은 개념으로 파악하여 주관적 안녕감을 정서적 측면인 즐거움, 흐뭇함, 충만감, 불안, 분노, 우울, 죄책감의 개념으로, 인지적 측면인 만족감의 개념으로 파악한 입장이다(김정호, 2013). 주관적 삶의 질은 인지적 평가와 감정적 평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다(이상덕, 2003).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에 치중하여 정의를 한 기존의 개념정의는 심리적인 구조에 관해 아무것도 이야기해주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심리적 안녕감이 삶의 질 개념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보는 관점이다(김정호, 2013).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개인의 삶에서 경험하고 느끼는 만족감이나 안녕감을 주관적인 측면에서 파악하여 신체적 건강, 심리적, 사회관계, 환경적 영역을 반영하였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는 임파워먼트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지지는 임파워먼트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를 매개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임파워먼트의 효과를 밝히고자 [그림 1]과 같이 사회적 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임파워먼트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jeiu-13-2-157-g1
그림 1. 연구모형 설계
Download Original Figure
2. 연구대상

연구대상은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베트남 출신국 결혼이주여성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2018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배부 및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3부를 제외한 171부를 유효 처리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 인구통계학적 특성
구분 빈도(명) 백분율(%)
직업 64 37.4
107 62.6
교육 중졸이하 61 35.7
고졸 84 49.1
전문대 졸 23 13.5
대졸 이상 3 1.8
지역 시지역 25 14.6
중소지역 36 21.1
읍면지역 110 64.3
한국어 잘함 70 23.4
보통 93 54.4
못함 41 22.2
거주기간 5년 이하 65 38.0
6년~10년 73 42.7
11년 이상 33 19.3
전체 171 100.0
Download Excel Table
3. 측정도구

이 연구의 측정도구는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및 삶의 질에 관련 설문지로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사회적 참여 도구는 정명희(2009)의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하위변인으로 여가활동, 지역사회활동, 학습활동, 자조모임활동으로 재구성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로 재구성하였다. 임파워먼트 척도는 김안나, 최승아(2013)가 개발한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개인적, 대인관계, 정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임파워먼트의 각 영역별 임파워먼트 척도를 재 구성하였다. 삶의 질은 민성길 등(2002)이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WHOQL- BREF)로 신체적 건강 영역, 사회관계 영역, 환경적 영역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및 삶의 질의 하위변인의 신뢰도는 <표 2>와 같다.

표 2. 하위변인별 신뢰도 검증
변인 하위변인 신뢰도
사회적 참여 지역사회활동 .932
여가활동 .931
학습활동 .940
자조모임활동 .936
사회적 지지 정서적지지 .927
정보적지지 .926
물질적지지 .924
임파워먼트 내적임파워먼트 .927
관계임파워먼트 .928
정치사회임파워먼트 .931
삶의 질 신체적건강영역 .930
심리적영역 .927
사회관계영역 .927
환경적영역 .928
Download Excel Table
4. 자료분석

연구자료는 SPSS 22.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분석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변인별 인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및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어서 문화적응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과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인식 수준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인식 수준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연구 변인별 인식 수준차이 검증
변인 하위변인 M S.D
사회적 참여 지역사회활동 3.52 .774
여가활동 3.32 .811
학습활동 3.15 .922
자조모임활동 3.54 .890
사회적 지지 정서적지지 3.60 .684
정보적지지 3.66 .711
물질적지지 3.49 .710
임파워먼트 내적임파워먼트 3.59 .658
관계임파워먼트 3.54 .642
정치사회임파워먼트 3.21 .754
삶의 질 신체적건강영역 3.45 .692
심리적영역 3.57 .706
사회관계영역 3.63 .708
환경적영역 3.66 .753
Download Excel Table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인식 수준은 전체적으로 보통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학습활동의 인식 수준은 3.15, 정치사회임파워먼트 인식수준 3.21로 다른 변인의 평균에 비해 낮았다.

2.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확인적 요인분석

이 연구에서의 측정모형 적합도 지수를 살펴본 결과, 최종 적합도는 =138.629(p=.000, df=58), GFI=.900, CFI=.960, NFI=.934, TLI=.937, RMR=.032, RMSEA=.090, AIC=232.629로 확인되어, 측정모형을 검증하는 적합도 지수에서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 표준화회귀계수는 0.7이상이었으며, AVE는 .50이상, 개념신뢰도 값은 0.7이상으로 집중타당성을 확보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요인 표준화계수, 비표준화계수, C.R, AVE, 개념신뢰도는 <표 5>와 같다.

표 4.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
(p) df GFI CFI NFI TLI RMR RMSEA AIC
138.629*** 58 .900 .960 .934 .937 .032 .090 232.629

p<.001

Download Excel Table
표 5.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개념타당도
경로 표준화 계수 비표준화 계수 S.E. 비표준화 C.R p AVE 개념 신뢰도
사회적 참여 → 지역사회활동 .726 1.000 Fix - - .900 .972
→ 여가활동 .699 1.000 .134 7.437 .000
→ 학습활동 .526 .865 .114 7.588 .000
→ 자조모임활동 .805 1.281 .153 8.372 .000
사회적 지지 → 정서적지지 .884 1.000 Fix - - .986 .995
→ 정보적지지 .884 1.033 .060 17.145 .000
→ 물질적적지지 .979 1.139 .052 21.915 .000
임파워먼 트 → 내적임파워먼트 .911 1.000 Fix - - .970 .990
→ 관계임파워먼트 .857 .915 .059 15.513 .000
→ 정치사회임파워먼트 .698 .853 .079 10.813 .000
삶의 질 → 신체적건강영역 .788 1.000 Fix - - .971 .993
→ 심리적영역 .853 1.090 .097 11.276 .000
→ 사회관계영역 .909 1.181 .090 13.173 .000
→ 환경적영역 .806 1.108 .097 11.378 .000
Download Excel Table

판별타당성 검증 결과 <표 6>과 같이 상관계수의 제곱값은 AVE 값보다 작아 판별타당도를 확보했다.

표 6. 판별타당도 분석
구분 상관계수의 제곱 AVE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삶의 질
사회적 참여 1 .972
사회적 지지 .249(.062)*** 1 .995
임파워먼트 .215(.046)*** .321(.103)*** 1 .990
삶의 질 .188(.053)*** .271(.073)*** .271(.073)*** 1 .993

p<.001

Download Excel Table

판별타당도 분석 결과를 확인한 연구모형은 사회적 참여의 경우 지역사회활동, 여가활동, 학습활동, 자조모임활동 네 개의 관측 변인을 가지고 있다. 사회적 지지의 경우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세 개의 관측 변인으로, 임파워먼트의 경우 내적임파워먼트, 관계임파워먼트, 정치사회임파워먼트 세 개의 변인과 삶의 질의 경우 신체건강영역, 심리적영역, 사회관계영역, 환경적영역 네 개의 측정 변인으로 구성하였다.

3.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구조관계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조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이론 변수는 4개이며 이중 외생변수 3개와 내생변수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사회적 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를 살피고, 임파워먼트의 간접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참여와 삶의 질의 관계, 사회적 참여와 임파워먼트, 임파워먼트와 삶의 질, 사회적 참여와 삶의 질에서 임파워먼트의 간접효과 4개의 경로와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 임파워먼트와 삶의 질,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서 임파워먼트의 간접효과의 관계 4가지 경로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표 7>과 같다.

표 7.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의 연구모형 적합도 지수
모형 df /df BIC AIC CFI GFI RMR RMSEA
142.278*** 62 2.295 363.370 228.278 .960 .902 .034 .087

p<.001

Download Excel Table

연구모형 적합도 지수는, =142.278(p=.000, df=62), GFI=.902, CFI= .960, BIC=363.370, AIC=228.278, RMR=.034, RMSEA=.087로 확인되고 있어, 연구모형을 검증하는 적합도 지수에서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모형의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8>, [그림 4]와 같이 사회적 참여에서 임파워먼트로 가는 경로와 삶의 질로 가는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사회적 참여는 매개변인인 임파워먼트(β=.018, p=.817)와 종속변인인 삶의 질(β=.018 p=.831)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에서 임파워먼트로 가는 경로와 삶의 질로 가는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다. 즉, 사회적 지지는 매개변인인 임파워먼트(β=.844, p<.001)과 종속변인인 삶의 질(β=.414 p<.01)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매개변인인 임파워먼트는 삶의 질(β=.462, p<.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표 8.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경로 경로계수 S.E C.R p
표준화 비표준화
사회적참여 임파워먼트 .018 .019 .080 .232 .817
삶의 질 .018 .016 .076 .213 .831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844 .831 .087 9.569 .000
삶의 질 .414 .366 .117 3.120 .002
임파워먼트 삶의 질 .462 .416 .106 3.930 .000
Download Excel Table
jeiu-13-2-157-g2
그림 4. 구조관계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Download Original Figure

이러한 결과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가 임파워먼트와 삶의 질에 각각 유의하지 않으며, 임파워먼트는 삶의 질에 유의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임파워먼트와 삶의 질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임파워먼트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간접효과가 있다.

이 연구의 최종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효과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계수(효과)는 첫째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만 종속변수 삶의 질로 직접 가는 경로의 직접효과와 둘째, 독립변수(사회적 지지)가 매개변수(임파워먼트)를 거쳐서 종속변수(삶의 질)로 가는 간접효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합한 총효과를 보았다. 효과분해 분석 결과는 <표 9>와 같다.

표 9. 구조적 관계에서 주요 변인들의 효과분석
매개효과 경로 직접효과 간접 효과 총효과
효과 크기 p 효과 크기 p 효과 크기 p
사회적참여 임파워먼트 .018 .822 - - .018 .822
임파워먼트 삶의질 .462 .002 - - .462 .002
사회적참여 삶의질 .018 .686 - - .018 .671
사회적참여 임파워먼트 삶의질 .018 .686 .008 .807 .026 .807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844 .006 - - .844 .006
임파워먼트 삶의질 .462 .002 - - .462 .002
사회적 지지 삶의질 .414 .017 - - .414 .011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삶의질 .414 .017 .390 .001 .804 .001
Download Excel Table

연구모형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는 임파워먼트에 직접효과((β=.844**)가 있고, 임파워먼트는 삶의질에 직접효과(β=.462**)가 있으며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직접효과(β=.414*)가 있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간접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연구모형의 각 경로의 효과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을 임파워먼트가 매개하는 경로에서 총효과는 .804, 직접효과는 .414, 사회적 지지가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390으로 확인되었다(p<.01). 이상과 같이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Bootstrapping을 통한 효과의 유의성에서 임파워먼트가 단일매개 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베트남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 증진은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력을 끼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해서는 개인적 역량과 집단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이 연구는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구조적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에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모형에서는 사회적 참여에서 임파워먼트로 가는 경로와 삶의 질로 가는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사회적 참여는 매개변인인 임파워먼트(β=.018, p=.817)와 종속변인인 삶의 질(β=.018 p=.831)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에서 임파워먼트로 가는 경로와 삶의 질로 가는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다. 사회적 지지는 매개변인인 임파워먼트(β=.844, p<.001)과 종속변인인 삶의 질(β=.414 p<.01)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매개변인인 임파워먼트는 삶의 질(β=.462, p<.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삶의 질로 가는 경로에서 유의한 직접효과, 간접효과(직접효과 크기: .414 p=.017, 간접효과 크기: .390, p=.001, 총 효과 크기: .804, p= .001)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참여는 삶의 질에,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사회적 참여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 참여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사회통합 및 결혼이주여성들이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다양한 사회적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결혼이주여성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역량강화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단편적으로 진행되어서는 안 되고 국가 및 지역사회가 어우러질 수 있도록 소통과 화합의 통합적인 사회 프로그램들로 구성하여 실행하여야 한다.

전북지역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는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임파워먼트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들이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배우자, 시부모, 친척, 한국인 친구, 이웃의 지지원, 자조모임 및 기관단체의 지지, 정부의 지지를 통하여 이들이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즉, 사회적 관계는 어느 한 부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통합 속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전북지역 결혼이주여성 중에서 베트남 출신이 53.6%로 과반 수 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정책은 국가별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이루어지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은 출신 국가별로 다양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특성을 고려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한다.

참고문헌

1.

권미애(2008). 노년기 가치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년기 활동 유형별 분석. 박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

김나영(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3.

김안나, 최승아(2013). 결혼이주여성 임파워먼트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9(2). 189-229.

4.

김이선(2015). 미등록체류 아동과 미혼모 이주여성의 인권, 안전 보호를 위한 정책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11.

5.

김정호(2013). 노인복지회관의 건강성이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6.

김정훈, 임안나(2010).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 자본 수준과 증진방안. 한국국정관리학회 20(3). 51-87.

7.

김혜순(2008).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한국사회학 42(2). 36-71.

8.

민성길, 김광일, 박일호(2002).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지침서. 서울: 하나의학사.

9.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0.

서재복, 권인탁, 임명희(201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대한 문화적응 매개 효과 연구. 교육종합연구 14(1). 225-246.

11.

서재복, 임명희(2018). 전북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교육종합연구 16(1). 173-193.

12.

성춘광(2011). 노년기 몰입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대학원.

13.

오세욱(2015).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 적응실태 및 교육수요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14.

이상덕(2003). 노년기 여가활동과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5.

이선혜, 이정섭(2002). 노인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에 대한 개념분석. 정신간호학회지 11(3). 588-595.

16.

이지연(2018).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7.

임명희(2017).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인식차이와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18.

임혁(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 189-221.

19.

정기선(2008).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이주특성과 이민생활적응: 출신국가별 차이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 20. 68-103.

20.

정명희(2009).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 변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평택대학교 대학원.

21.

출입국․외국인 정책 통계월보(2017). 2017년 7월호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서울: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22.

한명숙(2001).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와 수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가설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3.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s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24.

House, I. S & Kahn, R. (1981). Measure and Concepts of Social Support, In Shelon Cohen & Leonard S. (eds). Social Supprot and Health. New York: Academic Press, Inc.

25.

Palmore, E. B. (1981). Social Pattern in Normal Aging: Findings form the Duke Longitudinal Study,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26.

통계청(2017). 국제결혼현황(2017.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