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시민성 및 글로벌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영어 수업운영 사례연구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93

지역기반 세계지역학습을 위한 AI기반 챗봇의 개발과 활용: 문화 다양성 이해를 중심으로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59

초등교사들의 혐오 수업 구상과정 탐구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157
초등 2015개정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관련 목표와 내용 탐색
https://doi.org/10.35179/jeiu.2020.15.1.1

초등교사들의 혐오 수업 구상과정 탐구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157

지역기반 세계지역학습을 위한 AI기반 챗봇의 개발과 활용: 문화 다양성 이해를 중심으로
https://doi.org/10.35179/jeiu.2022.17.1.59
본 학술지는 2000년 5월에 창립된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가 2005년 11월에 처음 발간하여 2019년 현재까지 국제이해교육의 연구를 전담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등재 학술지이다. 『국제이해교육연구』는 학제적 접근을 하는 복합학문 분야로서, 국제이해교육의 5기둥인 세계시민교육, 문화다양성교육, 평화교육, 인권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중심으로 한 연구 성과를 다루고 있으며,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국제이해교육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 방안을 연구하는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최근에는 유네스코가 제안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의 정립과 확산을 위한 연구도 전개하고 있습니다. 본 학술지는 매년 3회(4월 30일, 8월 30일, 12월 31일) 발간되며, 2015년에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로 선정되었다.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는 2000년 5월 19일 교육을 통해 평화의 문화를 구축하려는 유네스코의 교육 이념을 연구하고 실천함을 목적으로 창립되었습니다. 국제이해교육의 주요 영역으로 문화다양성(문화 간 이해), 글로벌라이제이션, 인권, 평화, 지속가능 발전 등을 서로 연계되어 있는 통합주제로 선정하여 연구와 교육에 힘써왔습니다. 최근에는 유네스코가 제안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의 정립과 확산을 위한 활동도 시작했습니다. 본 학회는 창립 이래 교육현장에서 국제이해교육을 실천하는 교사 회원과 현장 활동가 그리고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국제이해교육 관련 주제를 연구하는 연구자가 상호 협력하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유치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는 각급 학교의 교사들이 학회의 주축으로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자들 역시 교육학, 인류학, 정치학, 사회학, 경제학, 지리학, 법학, 환경 연구, 예술교육 등 다양한 분과학문에 속한 학자들로 학제 간 연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학회는 유네스코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전국 시도교육청 등과 공동학술대회, 국제이해교육 포럼, 세계시민교육 포럼을 개최해 왔으며, 매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또한 日本國際理解敎育學會 (Japanese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Education)와는 매년 교류 및 협력 사업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