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5 퍼실리테이터의 토론 촉진 경험 개념 및 범주화

패러다임 상위개념 하위개념
인과적 조건 아세안 국가 문화 및 공통 가치관 공동체주의의 우선시아시아 국가라는 동질감유사한 문화적 및 역사적 배경유사한 예절과 가치관
아세안 국가 간 언어 및 기타 차이점 국가별 언어의 차이점국가별 현상에서의 차이점문화 및 종교에서의 차이점국가별 차이를 느끼지 못함
참가자들의 세대 및 정서적 특징 동일한 세대에서 느껴지는 정서비슷한 연령대의 친숙함
참가자 간 개인 차이점 영어 능력에서의 차이점전공에 따른 특성 차이해외경험에서의 차이점개인적인 성향에서의 차이점참가자 간 차이를 느끼지 못함
퍼실리테이터의 사전 경험 서밋 이전의 대면행사 경험서밋 이전의 온라인행사 경험생소한 아세안/한국 국제교류생소한 청소년 주도 국제교류
맥락적 조건 퍼실리테이터의 참여동기 및 기대 국가 간 토론과 문제해결개인적 관심과 호기심여러 국가 참가자와의 교류국가간 공통점과 차이점 경험퍼실리테이터 멘토를 통한 동기부여개인적 성장에 대한 기대비대면이므로 부담감 경감
퍼실리테이터가 인식하는 서밋의 목적 국제교류 및 연대 형성문제상황에 대한 토론과 역할 강구한국 홍보배움에 대한 의지 표출
진행 전 퍼실리테이터의 고민 온라인 운영에 대한 기술적 우려의미있는 온라인 교류가 가능할지 우려발언하지 않는 참가자에 대한 우려
퍼실리테이터 역량에 대한 우려 토론 진행에 대한 우려미니강의에 대한 자신감 부족
중심 현상 온라인 국제교류의 한계 대면에 비해 재미가 덜함문화적 교류 및 친밀감 형성에서의 제약온라인 접속 환경의 어려움원활한 의사소통의 제한
퍼실리테이터 역할 수행에서의 어려움 퍼실리테이터 역할 범위의 모호함발언을 요청하는 것의 불편함
토론 운영에서 느낀 아쉬움 토론 및 교류 시간의 부족성비의 불균형참가자의 대표성 문제마지막 토론 때 조원과 함께하지 못함참가자 역량에 의존하는 경향성
토론 운영에서 느낀 어려움 토론 주제의 모호성토론 내용이 매몰되거나 엇나감행사 전반을 알아야 한다는 부담홈페이지 활용에 대한 부담
참가자 관리에서 느낀 어려움 공격적으로 토론하는 참가자동기가 떨어진 참가자발언하지 않는 참가자어울리지 못하는 참가자영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참가자비디오를 끄거나 불참하는 참가자
토론 결과물과 관련된 어려움 결과물의 목적과 내용이 혼란스러움과제와 결과물의 간극과업 마감일에 대한 우려
중재적 조건 다양한 온라인 프로그램 활용 프로그램을 활용한 참가자간 교류
퍼실리테이터 역할의 범위 퍼실리테이터 역할 범위가 적절함
작용/상호작용 전략 참가자의 역량 및 적극성 리더의 원활한 토론 진행역량과 열정이 뛰어난 참가자자발적이고 활발한 참가자의 참여
참가자의 책임감과 성실성 열의를 가지고 수행된 사전과제발언을 하지 않더라도 성실히 수행함
퍼실리테이터가 인식하는 역할 및 수행 균형을 맞춰주는 역할모두의 발언기회를 보장하는 역할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역할전문지식을 설명해주는 역할지켜보고 지원하는 역할질문/제안하는 역할토론 가이드 및 결과물 안내토론 주제를 좁혀주는 역할
효과적이었던 토론 전략 과업 중심의 토론 운영미니강의를 통한 주제 선정아이스브레이킹 활용침묵도 괜찮다고 안내토론에 효과적인 사전과제
서밋의 성공요인 경쟁구도가 아님소그룹의 여러 세션 토론명시적인 가이드라인주최측의 전문성과 빠른 피드백토론 주제의 적절성
결과 만족스러운 토론 결과물 양질의 결과물과 권고문 작성토론이 잘 반영된 결과물
퍼실리테이션 반성 커뮤니티 코칭에 대한 아쉬움
퍼실리테이터의 개인적인 성장 아세안 국가에 대한 인식 변화온라인 토론에 대한 인식 변화참가자 역량과 적극성에 대한 인식 변화개인적인 고찰
테크니컬한 운영에서의 만족 온라인 회의가 유용함온라인 회의가 익숙함온라인의 특별한 단점이 없음
토론 이후에도 이어지는 교류 개인적인 교류 지속학습공동체 및 동아리 형성
서밋의 의의 충족 공동의 이슈에 대한 관심과 행동여러 국가 참가자들의 연대토론을 통한 의사결정 능력 함양청소년기의 시의적절한 경험퍼실리테이터의 긍정적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