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토론 퍼실리테이터 인터뷰에 사용된 면담 질문

구분 질문
도입 질문 Q1: 많은 국제 교류 중에 청소년들을 위한, 특별히 아세안 국가 학생들의 교류를 위한, 이런 프로그램이 있다고 생각해 보신 적이 있나요? 온라인 화상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계셨나요?
Q2: 참여동기가 된 부분, 참여하면서 개인적으로 그리고 프로그램 측면에서 기대하신 점은 무엇인가요?
Q3: 이번 서밋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비대면 온라인 국제교류에 대한 본인 인식이나 가치에 변화가 있으셨습니까? 특히 아시아 안에서, 아세안 청소년 맥락 안에서 생각해 주세요. 그렇다면/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Q4: 혹시 이와 비슷한 국제교류 행사에 진행하거나 참여해보신 적 있으십니까? 있다면 그 경험과 이번 비대면 온라인 경험은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까?
심층 질문 Q1: 이번 한·아세안 서밋이라는 국제 청소년 프로그램이 지니는 가장 큰 목표는 무엇이며 가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특히 청소년들에게 어떠한 가치가 있을 것 같나요? 그 목적이 달성되었다고 생각하시는지, 그 이유를 말씀 부탁드립니다. 반대의 의견도 이야기 해 주셔도 좋습니다.
Q2: 퍼실리테이터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셨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그 역할의 내용과 범위, 정도가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는지요. 퍼실리테이터 역할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이나 교육이 있었는지요. 그리고 퍼실리테이터 활동에 대한 중간 피드백, 사후 나눔활동이나 피드백이 있었는지요?
Q3: 이번 비대면 온라인 국제교류를 준비하면서 가장 기대되었던 부분은 무엇입니까? 실제로 참가자들과 토론을 운영할 때 이러한 부분에서 충족/성취감을 느끼셨나요? 본인에게 긍정적인 경험. 사례 제시해 주셔도 좋습니다.
Q4: 이번 비대면 온라인 토론을 준비하면서 가장 우려되었던 부분은 무엇입니까? 실제로 토론을 운영할 때도 그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끼셨나요? 느끼셨다면 어떤 영역이며, 어느 정도 입니까? 부정적인 경험. 사례 제시해주셔도 좋습니다.
심층 질문 Q5: 강의나 토론 이외에 아이스브레이킹, 투표 등을 위해 사용한 학습활동이나 프로그램이 있었습니까? 사용하셨던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습니까? 어떤 면에서 효과적이였다고 생각하시나요? 더 보완되어야 할 점은 어떠한 점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Q6: 토론 참여자들과의 상호작용이나 피드백은 원활하였습니까? 상호작용에 대해 관찰한 부분을 자세히 말씀해 주세요. 온라인이라서 나타나는 장/단점이 있었나요? 어떠한 부분이 장점, 단점이였다고 생각하시나요?
Q7: 한, 아세안 나라는 총 10개국입니다. (올해 미얀마 제외) 이러한 국적을 지닌 청소년들 사이에서 어떤 부분이 공통점, 차이점으로 느껴지셨나요?
Q8: 한달간 프로그램 퍼실리테이터로 진행해 오시면서 올해 한아세안 청소년 서밋 프로그램이 성공적이였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아니라면 왜 그렇다고 생각하시나요? 강의, 과제, 토론, 홈페이지 활용, 등 모두 포함해서 말씀해 주세요.
마무리 질문 Q1: 전반적으로 (대면인 경우, 오프라인) 국제교류가 더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할 수 없이 비대면 온라인으로 진행해야만 할 경우, 국제교류에서 참여자들의 적극성, 상호작용을 더 이끌어낼 수 있을까요? (학생들의 노력, 퍼실리테이터로서의 노력, 주최측/행정지원측면에서의 노력 세 가지로 나누어서 말씀해 주세요)
Q2: 인터뷰를 마치기 전에, 퍼실리테이터 선생님께서 경험하신 부분 중에 본 프로그램 효과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다른 요소들이 있으시면 마지막으로 자유롭게 말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