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분석 대상 문헌 목록

번호 연구자(출판년도) 대상 국가 연구개요
1 Seroto(2012) 남아프리카 공화국 1948-1994동안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시민교과 커리큘럼 문서 분석
2 Eten(2015) 아프리카 (가나) 가나 사례를 중심으로 한 아프리카 대륙의 개발교육과 시민성 분석
3 Quaynor(2018) 서아프리카 (가나, 말리, 라이베리아) 시민교육에서의 서아프리카토착적 지식 활용 가능성 탐색
4 Kubow(2018)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시민교육에서의 서구 및 비서구권 인식론 탐색
5 Howard et al.(2018) 가나 문화기술지를 활용한 가나 중고등 학교에서의 세계시민교육 실태 분석
6 Arnot, Casely-Hayford and Yeboah(2018) 가나 문헌 및 정책 분석과 인터뷰를 통한 가나에서의 시민교육 실태 분석
7 Angyagre & Quainoo(2019) 가나 가나 고등학교의 사회교육 교육과정에서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분석
8 Mhlauli(2012) 보츠와나 인터뷰를 통한 보츠와나 사회과 교사들과의 시민교육에 대한 이해도 분석
9 Skårås, Carsillo and Breidlid(2020) 남수단 커리큘럼 분석 및 중고등학교 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한 남수단 커리큘럼 분석
10 Sigauke(2011) 짐바브웨 짐바브웨 Presidential Commission Report에 드러난 시민교육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11 Dei & Simmons (2016) 가나 청소년 인터뷰를 통한 가나시민교육 현황 분석
12 Matereke (2012) 짐바브웨 역사적 맥락에서 탐색한짐바브웨의 시민성 개념
13 Chimbutane (2018) 모잠비크 모잠비크 시민성 및 교육에서의언어적 이데올로기 분석
14 Russell & Quaynor(2017) 라이베리아/르완다 중고등학생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한 라이베리아와 르완다의 시민적 정체성 분석
15 Hammett & Staeheli(2011) 남아프리카 공화국 고등학교 교육과정 분석, 수업참관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시민성 탐색
16 Russell(2018). 르완다 르완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교사· 학생 인터뷰를 통한 시민성과 인권 담론 분석
17 Staeheli & Hammett(2013)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책 문서 분석과 수업 참관을 통한시민성에 대한 담론 및 시민교육 실태 분석
18 Ghebru & Lloyd(2020)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교육과정 및교과서 분석을 통한 시민성 개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