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제시 | 교사: 선생님이 마스크 정책 결정자라고 해 봅시다. 마스크 정책 결정자로서 여러분에게 다양한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여러분의 의견에 따라 마스크 공급 정책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상황제시: 현 대한민국에는 마스크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오늘 날짜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어제와 비교하여 2배 이상 늘어난 상황이고, 앞으로 더 심각해질 상황입니다. |
역할 카드 배부 및 인물 상황 상상하기 | 교사: 여러분 각자에게 다양한 역할 카드를 나눠주도록 하겠습니다. 그 역할 속 인물이 어떠한 상황에 있을지를 생각해 봅시다. 신문 기사 내용을 생각하며 각 인물 속 상황을 모둠별 내에서 나눠봅시다.교사: 각 역할 속 인물이라면 여러분은 국내에 있는 외국인 모두에게 마스크를 지급하는 것에 찬성합니까? 아니면 반대합니까? |
찬성, 중립, 반대 견해끼리 모이기 | 교사: 찬성 쪽은 왼쪽으로 반대쪽은 오른쪽으로 중립은 뒤로 이동해주세요. |
입장별 2명/4명/8명/모두 모여 의견 나누기(수직선 표시 및 주장에 대한 근거 세우기) | 교사: 찬성 쪽은 왼쪽으로 반대쪽은 오른쪽으로 중립은 뒤로 이동해주세요.교사: (구성된 인원에 따라) 먼저 같은 입장은 친구 2명씩 만나 의견을 교환합니다.(2분 후) 의견교환 후 자기 생각을 수직선에 표시합니다. 그리고 반대의견을 가진 인물에 대한 감정을 표시해 주세요. 이제 4명씩 만나 의견을 교환합니다. (수직선 및 감정표시)(4분 후) 이제 8명씩 만나 의견을 교환합니다. (수직선 및 감정표시) |
입장별 2명/4명/8명/모두 모여 의견 나누기(수직선 표시 및 주장에 대한 근거 세우기) | (8분 후) 같은 의견을 가진 모든 친구와 함께 의견을 교환한 후,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자신의 견해를 대변할 수 있는 이유를 4가지씩 적어주세요. (수직선 및 감정표시) 중립의 위치에 있는 학생들은 중립인 친구끼리 의견을 교환하고, 그런 다음 찬성과 반대 견해에 자유롭게 의견을 청취합니다. |
의견별 모둠 구성(예시)- 파랑:찬성- 빨강:반대- 노랑:중립 | |
교사(마스크 정책 결정자)의 견해 표명(극단화 현상 및 부정 감성 생성 확인 절차) | 교사: 선생님은 여러분이 적어준 이유와 여러분이 활동 때마다 표시한 수직선과 감정을 바탕으로 정책을 결정하겠습니다.교사: 선생님이 여러분의 수직선과 감정, 이유를 잘 살펴봤습니다. 하지만 선생님의 걱정이 있습니다. 여러분 대부분의 수직선이 한쪽에 치우쳐 있고, 상대방에 대한 감정이 좋은 감정보다는 부정 감정이 있어서 당황했습니다. 선생님이 한쪽의 입장을 지지한다면 또 다른 위기가 찾아올 것입니다.(극단화 현상: 수직선이 한쪽으로 치우친 현상을 극단화 현상이라고 합니다. 위급한 상황이나 위험 요소가 높은 상황에서 사람들은 합리적인 판단보다는 같은 생각이 있는 사람과 함께 의견을 공유하면 한쪽으로 치우친 사고를 하게 됩니다. 감정 또한 긍정 감정보다는 부정 감정을 가지게 되는 경향이 높습니다.) |
역할 카드 재분배를 통한 다양한 역할 입장 대변하기 | 교사: 그렇다면 이번에는 여러분이 다양한 인물의 입장이 되어 보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생각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제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역할 카드를 다시 회수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다시 섞어서 나눠주도록 하겠습니다.교사: 여러분이 다시 받은 인물이 되어 봅시다. 어떤 상황에 부닥쳐있는지 상상해 봅시다. 그리고 자유롭게 돌아다니면서 만나는 친구에게 하이파이브를 한 후, 자신의 처지와 마스크 공급에 대한 견해를 교환합니다. (4회 반복) |
내가 최종결정권이라면?(최종결정하기) | 교사: 여러분이 마스크 공급 정책을 결정하는 최종 결정권자라면 어떤 결정을 내리겠습니까? 최종적으로 수직선에 표시해 봅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