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연구주체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사회·문화적 관점 환경적 관점 경제적 관점
UNESCO (2004) • 인권• 평화·안전• 양성평등• 문화적 다양성• 건강과 에이즈• 거버넌스 • 자연자원 (물, 에너지, 농업 등)• 기후변화• 농촌개혁• 지속가능한 도시화• 재해예방 및 완화 • 빈곤퇴치• 기업의 책무• 시장경제
대통령자문 지속가능 발전위원회 (이선경 외, 2005) • 인권• 평화·안전• 양성평등• 문화적 다양성• 건강과 에이즈• 거버넌스○ 갈등해소○ 통일○ 사회 혁신○ 연대(파트너십)○ 매체 소양 • 기후변화• 농촌개혁• 지속가능한 도시화• 재해예방 및 완화○ 자연자원 (물, 에너지, 대기 등)○ 생물종다양성○ 재해예방/축소○ 교통○ 주거환경 • 빈곤퇴치• 기업의 책무• 시장경제○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빈부격차 완화
UN (2015) SDG2: 기아 종식SDG3: 건강과 웰빙SDG4: 양질의 교육SDG5: 성평등SDG11: 지속가능한 도시와 지역사회SDG16: 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SDG17: SDGs를 위한 파트너십 SDG6: 깨끗한 물과 위생SDG7: 적정가격의 깨끗한 에너지SDG13: 기후변화 대응SDG14: 해양 생태계SDG15: 육상 생태계 SDG1: 빈곤종식SDG8: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SDG9: 산업, 혁신과 인프라SDG10: 불평등 감소SDG12: 책임감있는 소비와 생산
SDG 4.72030년까지 모든 학습자들이 지속가능발전 및 지속가능 생활방식, 인권, 성평등, 평화와 비폭력 문화 증진, 세계시민의식, 문화다양성 및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문화의 기여에 대한 교육을 통해, 지속가능발전을 증진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 습득을 보장한다.
김다원 (2020) • 인권, 평화·사회정의• 안전• 문화다양성• 건강·식품• 거버넌스·시민참여• 양성평등• 소양(매체, ICT)• 세계화·국제적 책임 • 자연자원• 에너지•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환경문제•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재해 예방·감소• 교통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기업의 지속가능성• 시장경제• 빈부격차 완화, 기아종식
출처: 김다원, 2020, 10-11을 참고하여 보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