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선행연구에서의 세계시민의식 개념

단체 또는 저자 개념
Hanvey(1982) 타인과 세계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인식하는 것, 현재 세계의 흐름과 상황에 대해 인식하는 것, 세계 사회 문화 간의 비교를 통해 다양성을 인식하는 것, 세계의 시스템으로서의 특성을 이해하고, 변화에 대한 인식을 갖는 것, 세계화로 인한 개인, 국가 및 인류가 선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인식하는 것
Falk(1994) 세계정부의 통제력 하에 가능한 개념으로, 지구의 문제에 대해 초국가적 행동을 할 수 있는 것
Noddings(2005) 평화와 인권을 추구하고, 지구공동체를 위한 시민적 자질과 정체성, 행위까지 포괄하는 것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2017) 국가의 경계를 넘어, 보편적 인간성을 강조하고, 지역과 세계, 민족 간의 상호연결을 전제로 더 큰 공동체에 대한 소속 의식으로, 인권, 민주주의, 차별 반대, 다양성 같은 보편적 가치에 기반을 두는 것
임성택·주동범(2000) 세계의 모든 문화, 인종 및 가치체계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능력과 다양성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시민의식
허영식(2004) 세계의 상호의존과 지구촌 문제를 고려하며 지구상의 모든 사람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정의와 연대의 정신으로 세계사회의 생활관계를 구성할 수 있는 것
이정우 외(2015) 세계화된 시대를 살아가는 시민에게 요청되는 세계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자질
박경희·박환보(2016) 전 지구적인 이슈를 이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서로 다른 문화와 역사를 가진 국가 및 구성원을 인정하는 태도와 지구공동체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