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시민성 | - 개인주의- 신자유주의 | - 도덕적 코스모폴리타니즘- 도덕적 보편주의- 다문화주의- 인도주의 | - 비판이론- 포스트 식민주의 |
교육적 접근 | - 인적자본이론 | - 인성교육 | - 변혁적 사회정의 학습 |
세계시민 | - 경계를 넘는 자유 여행자- 세계경제체제 참여자- 유망한 글로벌 리더 | - 글로벌 사회의 자비로운 이웃- 의식적이고 책임감 있는 시민 | - 지역 및 글로벌 사회의 변화 주체 |
글로벌 문제 | - 글로벌 경제 위기 및 불안정한 국제 안보- 경제성장과 국제질서를 저해하는 이슈 | - 빈곤, 전쟁/내전, 기후변화, 젠더, 인종, 문화에 기반한 차별 및 불평등, 인권 침해- 평화 및 지속가능발전을 저해하는 이슈 | - 불평등한 권력 관계, 억압 및 지배, 비인간화- 부정의한 권력 구조를 강화하는 이슈 |
글로벌 갈등 | - 거의 주목하지 않음 | - 표면적으로 인식함 | - 구조적으로 도전함 |
교육 목적 | - 국가경계 완화 인식- 경쟁적 세계에서 필요한 지식 및 기술 습득(예: 언어, 역사, 지리)- 개방적 태도 및 글로벌 매너 개발 | - 글로벌 상호연결성 인식- 다양한 역사 및 문화 이해- 지역, 국가, 글로벌 이슈 및 갈등 인식- 문제 해결을 위한 책임 및 관여- 인류 공동체에의 소속감- 공감 태도 개발 | - 글로벌 체제 인식- 사회 구조 및 권력 관계에 관한 지역, 국가, 글로벌 이슈/갈등 인식- 자신의 위치를 비판적으로 성찰- 글로벌 이슈의 근본적 인과관계를 탐색- 사회구조변혁 추구- 연대 태도 함양 |
교육 주제 | - 글로벌 경제- 국제정치(예: 국제기구 및 외교)- 외국어/문해- 외국 문화, 역사, 지리 | - 글로벌 이슈/문제- 인권- 문화 다양성 | - 글로벌 이슈/문제- 글로벌 체제/구조- 권력 관계/역동- 문화 다양성/종속집단- 글로벌사회정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