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 - ‘여행자’로서의 글로벌 시민: 글로벌 사회 참여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보상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전통적인 경계와 지역적인 한정성을 초월하는 공간을 창출하려고 하는 시민 | - 전 지구를 가로지르는 자유주의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보다는 이러한 관계나 지구적 유대 의식을 경제적 세계화에 대한 헤게모니의 부산물로 간주함. | - 전통적인 북반구/남반구 구분에서 이제는 국가와 지역을 가로지르는 사회경제적 분할이 이루어지고 있음.- 다양성을 포용하고 보다 포괄적인 공동체를 구축함으로써, 지역적 경험과 공유되는 전 지구적 경험 사이의 연계를 통해 사회적 정의를 창출하는데 결합하기 |
정책 | 사례 -국가교육정책: 지역 학생과 교사가 국제적 여행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뿐만 아니라 해외 학생 유치에도 주력하는 국제교육 프로그램 | - 사회적, 환경적으로 파괴적인 World Bank를 종식시키려는 국제적인 캠페인 | - CCIC(Canadian Council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의 Building Knowledge in Partnership 프로그램 |
글로벌 시민성에 대한 접근 | - 글로벌 시민성교육의 중점을 지식과 기능의 초국가적 유동성에 둠.- 교육의 목적은 외국어 습득뿐만 아니라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교환학생 프로그램 등의 간계 구축을 통해 세계에 대한 자유로운 이동에의 참여를 촉진하는 데 있음. | - 북반구와 남반구 사이의 불균등한 관계를 급진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시민들은 ‘글로벌 경제 자유주의적 기구’의 경제적 행위와 사회적 압제 및 경제적 파괴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해야 함 | - 지구 공동체를 위한 민주적 공간 창출의 중요성과 지역적, 국가적 경계를 가로지르는 협력 관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