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세계시민교육의 핵심 교수학습 실천방안 실현을 위한 협동학습의 촉진방법

세계시민교육의 핵심 교수학습 실천방안* 협동학습을 통해 촉진하는 방법
- 타인을 포용하고 존중하는 상호작용 중심의 교실 환경과 학교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 공감, 적극적 경청, 건설적 비판 등 적절한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을 결정하고 경험하게 하기- 집단과정과 긍정적·촉진적 상호작용 절차 마련하기
- 문화적으로 관심을 보일 만한 주제와 독립적으로 혹은 상호작용을 통해 실천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을 학습목표에 맞게 설정해야 한다. - 자신의 집단들에 배치되어 각각의 집단에서 과제 해결하기- 전문가 집단에서 학습한 주제를 자신들의 모집단에서 가르칠 때 사용할 교수자료 만들기
- 실제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과제 부여하기
- 국제성을 지향하는 학습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그들의 지역 상황과 관련하여 세계에 어떻게 적응할지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 지역·국가·세계를 연계할 수 있는 주제를 전문가 집단 과제로 부여하기
- 학습목표 및 학습 지원에 활용되는 교수 형태와 일치하는 평가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 개인과 집단의 책무성 평가 개발하기: 서로 효율적으로 도움을 주었는지, 서로 피드백을 주었는지, 서로의 판단과 추론에 도전을 주었는지, 집단의 목표 달성을 위해 서로의 활동에 영향을 주었는지, 신뢰할 만한 행동을 했는지 등
- 교실, 학교, 지역사회에서 글로벌한 차원으로 사고의 폭을 넓혀가게 하는 등 학습자에게 다양한 맥락에서 학습경험을 얻을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 촉진적 상호작용을 위한 화상회의, 온라인 토론 게시판, 도큐먼트 공유 시스템 등의 온라인 학습 환경 구축하기
- 역할 모델로서의 교사·교육자의 역할을 강조해야 한다. - 교사가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대인관계 기술 및 사회적 기술 소개하기
- 다문화 환경에서 학습자와 그 가족을 교수학습의 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 - 이질적으로 구성(성적, 장애, 인종, 다문화 자녀)된 학생들을 전문가 및 모집단으로 배치하기
출처: UNESCO(2015; 57). 세계시민교육: 학습주제 및 학습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