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세계시민교육 및 관련 개념을 교육과정의 내용에 범주화하기 위한 매트릭스

I. 세계시민교육의 정당화 및 기초 내용 습득 1. 세계시민교육의 정당성(사회경제적, 문화적, 도덕적)
2. 세계시민성에 대한 지지 및 해석
II. 인지 영역 글로벌 체제, 구조 및 과정(Processes) 3. 글로벌 거버넌스 체제 구조(제도) 및 과정
4. 인도주의적 법, 인권, 평화 구축, 국제법의 원칙
5. 다국적 기업
6. 기타 글로벌 체제
전 지구적 이슈 7. 세계화(사회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8. 북반구 국가와 남반구 국가의 관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상호연결성과 상호의존성
9. 기후 변화, 생물다양성, 지속가능발전
10. 전 지구적 빈곤과 불평등
11. 대량학살, 테러리즘, 전쟁, 난민
12. 질병(에볼라, 에이즈)
13. 기타 전 지구적 이슈
III. 사회·정서적 영역 다중적 정체성 14. 인간(Humanity)에 기반을 둔 정체성
15. 국가에 기반을 둔 정체성
16. ‘내재된 정체성’: 지역적, 국가적, 범지역적(초국가적), 전 지구적 정체성
차이와 다양성에 대한 존중 다문화적·국제적 맥락과 수준 17. 문화간 공감, 대화, 존중, 연대(상호문화적, 국제적, 지역적, 전 지구적 맥락)
18. 차별, 인종차별주의(상호문화적, 국제적, 지역적, 전 지구적 맥락)
19. 세계시민성을 위한 가치와 태도
IV. 행동 영역 참여와 행동 20. 전 지구적 이슈와 관련된 현재·미래의 시민운동에 참여
21. 전 지구적인 사회·정치적 이슈에 대한 정보와 토론
22. 전 지구적인 이슈에 대한 직접 행동
출처: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7 66). 세계시민교육 정책 개발을 위한 가이드.